본문 바로가기

별보기/우주 이야기

천체목록Ⅲ

4. RNGC 목록(The Revised New General Catalogue)
NGC 목록이 많은 천체관측자들에 의해 이용되면서 오자와 중복기록들이 많이 발견됨에 따라 팔로마 사진성도와 비교하여 확인, 정리된 것이 The Revised New General Catalogue(RNGC)로서 1973년에 발간되었다.

5. 그 외의 목록들
Abell 이 만든 Abell 목록(은하단 목록), New목록, HA목록

6. 이중성 목록
이중성 이름에는 ‘발견자의 이름’과 ‘순서번호’를 붙인다. 이중성 목록으로는 ‘스트루베 이중성 목록’과 ‘에이트킨 이중성 목록’이 유명하다.

스트루베 이중성 목록은 19세기의 뛰어난 이중성 관측자 스트루베(F.G.W. von Struve)가 만들었다. ‘Σ(시그마)’란 기호가 붙은 ‘Σ 순서 번호’ 형태로 이름붙였고 성도에서도 번호 앞에 ‘Σ’가 붙는다. 스트루베는 1827년 이전까지 9.6지인치(244mm) 굴절 망원경으로 이중성을 샅샅이 탐색했다. 따라서 ‘Σ’ 기호가 붙지 않은 이중성은 스트루베가 발견하지 못한 것으로서 그만큼 관측이 어렵다는 것을 뜻한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는 목록은 1932년에 에이트킨이 편집한 ‘로버트 G. 에이트킨의 새로운 이중성 목록’, 즉 ‘에이트킨 이중성 목록’이다. 흔히 ‘ADS 목록’이라고도 부르며 ‘ADS’란 기호가 붙은 ‘ADS 순서번호’로 이름이 붙었다. 이 목록은 북쪽 하늘에서 볼 수 있는 대부분의 이중성을 수록하고 있다.

7. 항성목록
항성목록은 천체의 동정과 새로운 천체의 발견, 그리고 항성 통계작업 등에 주로 이용된다. 오늘날 사용되는 항성목록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나 그것이 어떠한 종류의 것이든지 특정한 기산점(起算點)에서의 천체의 정확한 위치(보통 赤經과 赤緯)와 등급단위로 표시된 천체의 밝기는 필수적으로 기재되어 있다. 그 밖에 천체의 분광형(分光型), 세차운동(歲差運動)과 고유운동의 수정값, 시차(視差) 등 자료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어떤 항성목록은 더 많은 자료를 포함하고 있는 것도 있다.

세계 최초의 항성목록은 BC 4세기경 중국에서 제작되었는데 전국시대에 석갑(石甲)이 120개의 항성을 모아 편찬한 것이다. 그 후 수(隋)의 단원자(丹元子)는 《보천가(步天歌)》라는 항성목록에 284개의 별자리로 나누어진 1464개의 항성을 관측하여 수록했다. 《보천가》는 이후에 동양에서 작성된 항성목록의 기본형이 되었다. 한국에서는 1800년대에 조선시대 관상감(觀象監)의 천문학자이었던 남병길(南秉吉)이 1449개 항성들의 자료를 모아 《성경(星鏡)》이라는 항성목록을 작성하였다. 현존하는 항성목록 중 가장 오래된 것은 150년에 제작된 프톨레마이오스의 저서 《알마게스트:Almagest》에 포함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프톨레마이오스는 1022개 항성들의 황경(黃經)과 황위(黃緯), 그리고 1.0∼6.0m 범위의 밝은 항성들을 수록하였다.

15세기 중엽에 U.베그는 프톨레마이오스의 항성목록을 보완하여 《사마르칸트 항성목록》을 만들었다. 이 항성목록에 수록된 항성의 위치는 세차운동에 의한 춘분점(春分點)의 이동량이 보정된 것이었다. 17세기에는 망원경 ·자오환(子午環) ·시계 등의 기구가 발명되어 항성위치 관측의 정밀도가 높아졌고, 선진국에서는 해외식민지 개척을 위한 원양 항해기술의 기초자료로 정밀한 항성목록의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1712년 영국의 그리니치 천문대 초대대장 J.플램스티드는 2935개 항성의 황경 ·황위 ·적경 ·북극거리 값들이 수록되어 있는 《대영 항성목록》을 만들었다. 1818년 독일의 F.W.베셀은 3222개 항성의 위치에 관하여 광행차와 장동(章動)효과를 보정하여 《천문원사》라는 항성목록을 발표하였다.항성의 위치와 관련해서 오늘날 사용되는 항성목록은 크게 기본목록 ·지역목록 ·조사목록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기본목록은 오랜 세월에 걸쳐 정밀도가 높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관측된 위치자료로부터 얻은 정확한 절대위치를 수록하고 있기 때문에 절대목록(絶對目錄)이라고도 하며, 관성좌표계의 설정에 사용된다. 기본목록에는 FK 4(fourth fundamental catalogue) ·GC(general catalogue) ·N 30 등이 있다. 이들의 정밀도는 평균적으로 적경(α)에서 0.05″, 적위(δ)에서 0.05″ 정도인데 이들은 위치와 고유운동 측정값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다. 특별히 FK 4는 가장 정밀도가 높은 것으로 1968년에 제작되었는데, 1592개의 항성에 대하여 위치의 정밀도는 0.01″, 밝기의 정밀도는 0.01m 정도로 천체력(天體曆) 계산의 기초자료로 사용되고 있다. GC와 N 30은 FK 4만큼 정밀하지는 못하나 각각 3만 3342개와 268개의 항성을 포함하고 있다. 지역목록은 절대위치가 알려진 기본항성들을 기준으로 하여 항성들의 상대적 위치가 정확하게 결정된 자료를 모은 것으로 상대목록(相對目錄)이라 불리기도 한다.

지역목록의 대표적 예인 AGK 1은 1863년 이후 기산점을 달리하는 약 20만 개 항성들의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이 목록은 후일 AGK 2, AGK 3 등으로 복간되었다. 비록 정확도는 기본목록에 미치지 못하지만 많은 항성들이 실려 있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조사목록에는 BD목록(Bonner Durchmusterung) ·SD목록(Southern Durchmusterung) ·CD목록(Cordoba Durchmusterung) ·CPD목록(Cape Photographic Durchmusterung) ·HD목록(Henry Draper catalogue) 등이 포함되어 있다.

BD목록은 기산점을 1855년으로 하여 1859년에 만들어졌는데, 적위 +90°∼-2°에 걸쳐 한계등급 9m 이상인 약 32만 개 항성의 위치와 등급자료가 주된 내용이다. SD목록은 역시 기산점을 1855년으로 하여 적위 -2°∼-23°에 걸쳐 한계등급 9m 이상의 항성들 약 13만 개에 대한 위치와 등급자료가 수록되어 있는데, 1886년에 완성되었다.한편 CD목록은 기산점을 1875년으로 하여 적위 -23°∼-90°에 걸쳐 한계등급 10m 이상인 약 58만 개 항성들의 위치와 등급자료를 수록하여 1892년에 제작되었다. BD, SD, CD목록은 각각 전혀 독자적인 항성목록이 아니고 수십년에 걸쳐 진행된 일련의 항성목록 제작작업 과정의 일부분인 것이다. CPD목록은 사진측정에 의해 적위 -18°∼-90°에 걸쳐 한계등급 9.5m 이상인 약 45만 5000개 항성의 위치와 등급자료를 1875년을 기산점으로 하여 1896년에 완성한 것인데 그 정밀도는 BD보다 2배 정도 높다.HD 목록은 기산점을 1900년으로 하여 전하늘에 걸쳐 한계등급 8.5m 이상인 22만 3000개의 항성에 대한 위치와 분광형, 그리고 등급자료를 포함한 것인데 1824년에 제작되었다.

오늘날에는 이상의 종류 이외에도 다른 특성을 중심으로 한 항성목록이 사용되고 있는데 윌슨산 시선속도목록(Mt.Wilson catalogue of radial velocity) ·예일시차목록(Yale parallor catalogue) ·고속도성목록(catalogue of high velocity star) ·에이트켄쌍성목록(Aitken’s double star catalogue) 등 여러 종류가 있다. 또 여러 항성목록의 자료를 수집하여 제작된 수집목록으로는 SAO목록(Smisonian astrophysical observatory catalogue)이 있다.
반응형

'별보기 > 우주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계 행성 찾는 방법  (0) 2007.06.25
궤도에 따른 행성의 분류 / 행성의 위치관계(Arnim님 질문)  (0) 2007.06.25
가장 밝은 별은?  (0) 2007.02.09
천체목록Ⅱ  (0) 2007.02.09
천체목록Ⅰ  (0) 2007.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