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별보기/봄철 별자리

처녀자리

사용자 삽입 이미지
처녀자리
학명 Virgo 약자 Vir

 처녀자리는 사자자리, 저울자리에 둘러싸인 별자리로 남쪽하늘에 보이는데, 가장 밝은 별은 스피카(Spica)이다. 황도 12궁에서 6번째 별자리이며 처녀궁이라고도 한다. 처녀자리는 하늘에서 바다뱀자리 다음으로 2번째로 크고, 황도대에 자리잡아 태양이 가장 오랫동안 머무는 별자리이다. 태양은 9월 하순에서 11월 초까지 수확의 계절에 처녀자리를 지나는데, 이 때문에 왼손에 이삭을 들고 있는 처녀의 모습은 고대부터 농업과 수확의 여신으로 그려져 왔다.

 이 별자리에는 토지의 여신 데메테르의 딸 페르세포네에 관한 신화가 있다. 제우스가 거인족과 싸워 승리한 후 거인족을 아이트나산 밑에 생매장 하였는데 거인족들이 달아나려고 몸부림 쳐서 자주 지진이 발생하였다. 지옥의 신 하데스는 자신의 왕국이 노출되는 것을 근심한 나머지 피해상황을 살피기 위해 검은 말이 끄는 전차를 타고 땅 위에 올라왔다. 이것을 본 사랑의 여신 아프로디테(영어로 비너스)는 아들 에로스(영어로 큐피드)에게 하데스를 골탕먹이기 위해 화살을 쏘도록 한다. 그 때 토지의 여신 데메테르의 딸 페르세포네가 근처에서 놀고 있었는데 화살에 명중한 하데스가 이성을 잃고 그녀에게 반하여 자신의 전차에 태우고 지옥으로 달아났다. 토지의 여신은 딸을 찾기 위해 온 세상을 떠돌아 다녔다. 유일한 목격자인 님프들은 여신에게 알리고 싶었으나 하데스가 두려워 감히 입을 열지 못했다. 그러나, 보고만 있을 수 없어서 페르세포네가 끌려가면서 떨어뜨린 허리띠를 바람에 날려 여신의 발 밑에 가게 한다. 그러나, 여신은 땅이 자신의 딸을 삼킨 것으로 오해하여 땅을 저주하니 땅이 황폐화 되었다. 그래서, 샘의 님프 아레투사가 딸이 지옥에 있다고 말해 주었다. 데메테르는 제우스에게 도움을 요청하였다. 제우스는 페르세포네가 지옥음식을 아무것도 먹지 않았으면 가능하다고 하였다. 교활한 하데스는 이미 페르세포네에게 석류를 먹이고 말았다. 그래서, 1년 중 반은 어머니와 지내고 나머지는 하데스와 지내게 되었다. 그래서 페르세포네가 지옥에 있는 동안에는 겨울이 되어 농사를 지을 수 없게 되었고 매년 봄이면 페르세포네는 하늘의 별자리가 되어 지하세계로부터 동쪽하늘로 올라온다고 한다.

 또다른 이야기로는 정의의 여신 아스트라에아에 관한 것이다. 먼 옛날 황금의 시대와 은의 시대에는 신들과 인간이 함께 살았다고 한다. 그러나, 인간들이 타락하게 되자 신들은 더 이상 인간과 함께 살 수 없게 되었다. 그러나, 정의의 여신은 인간들에게 정의를 가르쳤다. 하지만 여신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정의가 상실되자 하늘로 올라가고 말았다. 옆의 저울자리가 아스트라에아가 가지고 올라간 저울로 세상의 정의와 사악을 재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이집트 신화에도 처녀자리에 관한 이야기가 있다. 처녀자리는 농사와 수태의 여신 이시스로 인식했다. 이시스가 괴물 티폰에게 쫓겨 하늘로 도망치게 되었다. 그 때 들고 있던 이삭을 흘린 것이 은하수가 되었고, 이시스는 별자리가 되었다고 한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하지 무렵 내리는 비를 이시스의 눈물이라고 부르며, 나일강변에서 제사를 지내고 강물의 깊이를 재었다고 한다.

 동양에서는 28개의 황도대 별자리 중 동쪽의 첫째 별자리인 각(角)자리가 처녀자리에 해당한다. 동양의 대표적인 별자리인 28숙(宿)은 동서남북 각각 7개의 별자리가 청룡, 백호, 주작, 현무의 형상을 만드는데 각자리는 청룡의 뿔에 해당한다.

 1등성 스피카 이외에는 3등성 이하의 어두운 별뿐이므로, 창공이 어둡고 맑게 갠 날이 아니면 보리이삭을 안은 여신의 모습은 보기 어렵다. 스피카는 절대등급 -2등성과 0.3등성의 동반성 2개가 4일의 주기로 만나는 이중성이다. 라틴어로 '밀의 이삭'을 뜻하는 스피카는 정확히 1등성으로 밤하늘에서 16번째로 밝은 별이다. 스피카는 밝은 백색의 별로 표면온도가 2만도에 달하며 태양보다 1만 배나 밝다.

 이 별자리의 북쪽에는 처녀자리은하단이 있어 작은 망원경으로도 많은 은하를 볼 수 있다. 제일 밝고 보기 쉬운 은하는 까마귀자리와의 경계에 가까운 M104이며, 솜브레로은하라고 부른다. 그밖에도 M49, M58, M59, M60, M61, M84, M86, M87, M89, M90를 볼 수 있다.

 처녀자리는 봄의 대곡선, 봄의 정삼각형, 처녀의 다이아몬드 등의 특징을 알고 있으면 쉽게 찾을 수 있다. 이 별자리를 찾는 가장 좋은 방법은 북두칠성의 손잡이 곡선을 따라 내려오는 것이다. 이 곡선은 목동자리알파(α)별 아크투루스와 만나게 되고 계속 가면 처녀자리의 알파(α)별 스피카를 찾게 된다. 이 별과 사자자리의 베타(β)별 데네볼라와 목동자리아크투루스가 봄의 정삼각형을 이룬다.
반응형

'별보기 > 봄철 별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칭자리  (0) 2007.01.23
육분의자리  (0) 2007.01.23
왕관자리  (0) 2007.01.23
작은사자자리  (0) 2007.01.23
사자자리  (0) 2007.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