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별보기

(321)
7월 22일, 일식이 일어나는 태양을 관측하자. 관련 글 : 7월, 불개가 삼킨 해를 봅시다. 7월 22일, 일식이 일어나는 태양을 찍어보자. The bugs see a solar eclipse (maybe?) from their space ship by Curious Expeditions 일식을 촬영하는 방법에 이어, 일식을 관측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 보려 한다. 일식과 같은 보기 드문 현상을 사진으로 간직하고 싶은 마음은 간절하지만 사정상 카메라를 사용할 수 없거나 여건이 되지 않아서 일식을 찍을 수 없을지도 모른다. 게다가 촬영을 위한 장비를 챙겨 여행을 가기에는 부담스러운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단지 눈으로 일식을 관측하는데에는 무거운 장비가 필요없고, 주변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것들로 쉽게 볼 수가 있다. 지금 밖에 해가 떠 있다면 잠깐 ..
7월 22일, 일식이 일어나는 태양을 찍어보자. 관련글 : 7월, 불개가 삼킨 해를 봅시다. 7월 22일, 일식이 일어나는 태양을 관측하자. Black hole Sun by betelgeux 7월 22일, 아시아에서는 해가 사라지는 놀라운 현상이 일어납니다. 아쉽게도 우리나라에서는 태양이 일부만 가리게 됩니다. 하지만 제주도에서 태양의 90%, 서울에서도 80%가 가릴 정도이기 때문에 2035년에 평양을 지나는 개기일식을 제외한다면 최근의 일식 중 가장 볼만한 이벤트가 될 것입니다. 일식 소식을 접한 분들 중에 태양 사진을 찍기 위한 방법을 물어보시는 분들이 계셔서 예전의 글을 이번 일식 상황에 맞게 약간 수정해서 써 봅니다. 1. 똑딱이나 핸드폰? 한번쯤은 해를 찍어보셨으리라 생각합니다. 똑딱이던, 핸드폰이던, slr이던.. 그런데 똑딱이나 핸드폰은..
태양 투영법 관측 용지 태양을 투영법으로 관측 시 투영판에 붙이는 용지입니다. 각 눈금은 15도 간격입니다.
카오스 이론 카오스 이론은 알려 할수록 어렵군요.. 지금부터 아이하라 가즈유키씨가 지은 "쉽게 읽는 카오스"를 바탕으로 제가 이해한 바를 적습니다. 잘못 이해한 부분도 있을지 모르겠지만 어느 정도 도움이 되길 바라며 이 글을 씁니다. 뉴턴이 1687년에 출판한 자연과학의 수학적 원리라는 프린키피아의 발표로 지상 물체의 운동 법칙과 천체의 운동 법칙이 미분 방정식에 따라 나타난 운동 방정식이라는 수학의 언어로 표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뉴턴 역학은 과학계에서 확고부동한 지위를 차지했죠. 후에는 천체의 위치와 궤도, 일식, 조석간만의 차이 등 여러가지 다양한 현상을 뉴턴 역학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됩니다. 이처럼 뉴턴 역학이 거둔 완벽한 성공은 자연관과 세계관에 큰 영향을 미치고 지금의 자연과학에도 기본사상으로..
7월, 불개가 삼킨 해를 봅시다. 우리는 일식과 월식이 생기는 원리를 학교에서 배워서 잘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먼 옛날에는 하늘의 절대적인 존재인 해와 달이 빛을 잃고 온 세상이 어두워지는 두려운 일이었죠. 전래동화에는 이런 이야기가 있습니다. 어둠의 나라의 왕이 이웃 나라의 해가 탐나 불개에게 해를 가져오도록 명령합니다. 하지만 불개가 해를 물었을 때 너무나도 뜨거워 해를 뱉어냅니다. 어둠 나라의 왕은 다시 달을 물어오도록 시키지만, 이번엔 너무나도 차가워서 달을 물어오지 못하죠. 옛날 사람들은 이렇게 불개가 해와 달을 물었을 때 일식과 월식이 생긴다고 여겼습니다. 앞으로 한달 후, 우리는 불개가 해를 삼키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번 일식은 개기일식이며 아시아에서 볼 수 있습니다. 개기일식은 7월 22일에 일어납니다. 위의 그림..
7월의 밤하늘 7월의 밤하늘과 볼만한 천체들입니다. 천문대에 방문하는 손님들께 오늘 볼 대상들을 한눈에 알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이 파일은 A4 사이즈입니다.
6월의 밤하늘 6월의 밤하늘과 볼만한 천체들입니다. 천문대에 방문하는 손님들께 오늘 볼 대상들을 한눈에 알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이 파일은 A4 사이즈입니다.
잘못 알고 있는 천문상식 지난 글에서 우리나라 국민 [지구는 별일까, 아닐까?] 라는 질문에 틀린 사람은 70.6% [혜성이 불덩어리로 이루어져 있을까?] 라는 질문에 틀린 사람은 49.1% [태양은 별일까?] 라는 질문에 틀린 사람은 41.7% [낮에는 하늘에 별이 없다] 라는 질문에 틀린 사람은 21.9% 였다. 1. 지구는 별일까? 우리는 종종 '지구별'이라는 표현을 쓴다. 밤하늘에 보이는 반짝이는 점들을 모두 별이라고 부르며, 지구도 그 중 하나라는 생각일 것이다. 지구는 별일까? 천문학에서 별이라 함은 항성을 뜻한다. 항성은 한자로 恒星, 밤하늘에서 움직이지 않으며 항상 그 자리에 있다. 이런 항성들은 수소로 이루어져 내부에서 수소핵융합반응을 일으키며, 이 에너지로 인해 빛과 열을 낸다. 다시 물어본다. 지구는 별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