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보기/우주 이야기 (21) 썸네일형 리스트형 외행성의 움직임 내행성의 움직임에 대해 글을 쓴지 3년만에 외행성의 움직임에 대해 글을 써 봅니다. 행성의 위치관계가 중요한 이유는 각 행성들의 출몰시간과 위치, 관측에 적합한 시기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행성의 위치관계 1.외행성 : 지구보다 태양에서 더 멀리 있는 행성으로, 화성,목성,토성,천왕성,해왕성이 여기에 속합니다. ⑴위치관계 ①합(Conjunction) : 지구에서 볼 때 태양과 같은 방향에 있습니다.[외행성 - 태양 - 지구] 와 같은 순서로 늘어서게 됩니다. ②충(Opposition) : 우리가 보는 하늘에서 태양과 반대편에 놓일 때로, 지구에 가장 가까운 때입니다.[태양 - 지구 - 외행성] 과 같은 순서로 늘어서게 됩니다. ③구(Quadrature) : 외행성의 황경이 태양의 황경과 90도.. 다시 시작된 종말론, 2012년 지구는 멸망할 것인가? 멸종 : 생물학에서 동식물의 어떤 종족 또는 종이 모두 죽어버리거나 대가 끊긴 상태 다시 시작된 종말론 과거 지구에는 다양한 생물이 살았다. 하지만 어떤 이유에서인가 그들은 모두 죽어버리고 다른 생물이 지구를 지배한다. 6천 5백만년 전까지 지구를 지배했던 공룡은 왜 사라졌을까? 지금 지구를 지배하고 있는 인류는 공룡과 같은 운명 앞에서 두려움에 떨고 있다. http://www.youtube.com/watch?v=VHClypg3778 http://www.youtube.com/watch?v=N7nSI4uiEag&feature=related 얼마 전 M방송사의 프로그램 중 지구의 멸망에 대해 다룬 것이 있다. 여기서 나온 추측은 5000년 전의 마야력이 아주 정확한 역법을 바탕으로 하는데, 2012년 12월.. 내행성의 움직임 ☆ 행성의 분류 태양계 행성의 분류법에는 두가지가 있습니다. 한가지는 성질에 따라 지구형 행성과 목성형 행성으로 분류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궤도에 따라 내행성과 외행성으로 분류하는 것입니다. 내행성과 외행성을 구분짓는 기준은 지구입니다. 지구보다 태양에 가까운 안쪽 궤도를 돌면 내행성, 지구보다 태양에 먼 바깥쪽 궤도를 돌면 외행성입니다. 간단하죠? 이런 위치관계가 중요한 이유는 각 행성들의 출몰시간과 위치, 관측에 적합한 시기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행성의 위치관계 1.내행성(수성,금성) ⑴위치관계 ①내합: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때를 말합니다. [태양 - 내행성 - 지구] 와 같은 순서로 늘어서게 됩니다. ②외합:지구에서 가장 멀때를 말합니다. [내행성 - 태양 - 지구] 와 같은 순서로 늘.. 인류는 정말 달에 갔다 왔을까? 며칠 전 나사가 아폴로 11호의 원본 테잎을 분실했다는 기사가 올라오면서 다시금 지구인의 달 착륙이 거짓이라는 음모론을 불러 일으키고 있습니다. 분명히 그렇게 중요한 자료를 필름이 없었다는 이유로 아폴로 11호의 영상을 덮어 씌운 잘못은 피하지 못할 것입니다. 단순한 실수인지 음모론자들이 주장하는대로 뭔가를 숨기기 위함인지는 알 수 없습니다. 이렇게 다시금 의혹이 증폭되는 가운데 인류가 달에 갔다 왔음을 증명하는 방법은 어떤게 있을까요? 그렇습니다. 달에 갔다 왔다는 증거는 현재 달에 남아 있는 당시의 흔적들을 찾아내면 됩니다. 예를 들어 사진으로 많이 봐왔던 발자국 같은 거죠. 하지만 발자국과 같은 흔적은 너무나 작아서 지구나 달을 도는 위성으로 사진을 찍을수 없습니다. 그럼 어떤 증거물을 찾아내야 할.. 카오스 이론 카오스 이론은 알려 할수록 어렵군요.. 지금부터 아이하라 가즈유키씨가 지은 "쉽게 읽는 카오스"를 바탕으로 제가 이해한 바를 적습니다. 잘못 이해한 부분도 있을지 모르겠지만 어느 정도 도움이 되길 바라며 이 글을 씁니다. 뉴턴이 1687년에 출판한 자연과학의 수학적 원리라는 프린키피아의 발표로 지상 물체의 운동 법칙과 천체의 운동 법칙이 미분 방정식에 따라 나타난 운동 방정식이라는 수학의 언어로 표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뉴턴 역학은 과학계에서 확고부동한 지위를 차지했죠. 후에는 천체의 위치와 궤도, 일식, 조석간만의 차이 등 여러가지 다양한 현상을 뉴턴 역학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됩니다. 이처럼 뉴턴 역학이 거둔 완벽한 성공은 자연관과 세계관에 큰 영향을 미치고 지금의 자연과학에도 기본사상으로.. 잘못 알고 있는 천문상식 지난 글에서 우리나라 국민 [지구는 별일까, 아닐까?] 라는 질문에 틀린 사람은 70.6% [혜성이 불덩어리로 이루어져 있을까?] 라는 질문에 틀린 사람은 49.1% [태양은 별일까?] 라는 질문에 틀린 사람은 41.7% [낮에는 하늘에 별이 없다] 라는 질문에 틀린 사람은 21.9% 였다. 1. 지구는 별일까? 우리는 종종 '지구별'이라는 표현을 쓴다. 밤하늘에 보이는 반짝이는 점들을 모두 별이라고 부르며, 지구도 그 중 하나라는 생각일 것이다. 지구는 별일까? 천문학에서 별이라 함은 항성을 뜻한다. 항성은 한자로 恒星, 밤하늘에서 움직이지 않으며 항상 그 자리에 있다. 이런 항성들은 수소로 이루어져 내부에서 수소핵융합반응을 일으키며, 이 에너지로 인해 빛과 열을 낸다. 다시 물어본다. 지구는 별일까?.. 우리나라의 천문에 대한 관심 천문연구원은 [천문학 얼마나 중요합니까?] 라는 주제로 서울과 6개 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59세 이하의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2008년 12월 18일에서 12월 20일 사이에 전화면접 조사를 통해 천문학에 대한 전 국민 인식도를 조사하였다. 2009년은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천체망원경을 통해 첸체을 관측한지 400년이 되는 해이다. 이를 기념해 UN은 2009년을 세계천문의 해로 선포하고, 세계적으로 다양한 천문행사가 마련되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12.5%가 알고 있다고 응답하여, 아직 홍보가 미미하며 천문에 대한 인지도가 높지 않다고 볼 수 있다. 천문연구원 보도자료 중에는 천문대에 대한 물음이 있다. 이에 따르면 응답자 중 65.3%가 천문대라는 시설에 대해 들어보았다고 나타난다. .. 월식이란? 월식이란 태양, 지구, 달이 일렬로 늘어섬에 따라 지구 그림자에 달이 가리는 현상이다. 하지만 모든 월식이 같은 것은 아니다. 월식은 본영식과 반영식으로 구분지을 수 있다. 본영식은 말 그대로 본영에 달이 가리는 현상이고, 반영식은 반영에 달이 가리게 된다. 본영이라 함은 햇빛에 모두 가리는 그림자 부분을 말한다. 이에비해 반영은 햇빛이 부분적으로만 가리게 되어 본영보다 밝다. 왜 이런 현상이 생길까? 아래 그림을 보면 쉽게 이해가 되리라 생각한다. 그림과 같이 지구 뒤에는 그림자가 생기게 되는데, 1번의 경우에는 짙은 그림자가, 2번의 경우에는 옅은 그림자가 생긴다. 1번이 본영이 되고, 2번이 반영이 된다. 만약 달이 본영과 반영에 들어간다면 다음 그림과 같이 된다. 달이 본영에 들어갈 경우 우리는 .. 이전 1 2 3 다음